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예수 그리스도의 품성: 기도에 힘쓰신 예수 그리스도 서론[히 5:7] 그는 육체에 계실 때에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이에게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고 그의 경외하심을 인하여 들으심을 얻었느니라 예수님은 육신으로 계실 때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습니다. 신약에 예수님께서 기도하신다는 말이 25회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예수님께서 하나님 아버지를 경외함으로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고, 하나님은 예수님의 성품을 이해하시고 그 기도를 들어 주셨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히 5:7).본론1. 예수님의 기도 시간1) 밤에 기도하셨습니다(눅 6:12).2) 아침 일찍 기도하셨습니다(막 1:35).3) 중요한 사역을 시작하시기 전과 후에 기도하셨습니다. ① 공생애에 들어가시기 전(눅 3:21-22) ② 전도 여.. 2024. 10. 31. 직분 자의 자격: 교회 직분 자의 자격에 대하여 서론[행 6:3-5] (3) 형제들아 너희 가운데서 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 칭찬 듣는 사람 일곱을 택하라 우리가 이 일을 저희에게 맡기고 (4) 우리는 기도하는 것과 말씀 전하는 것을 전무하리라 하니 (5) 온 무리가 이 말을 기뻐하여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 스데반과 또 빌립과 브로고로와 니가노르와 디몬과 바메나와 유대교에 입교한 안디옥 사람 니골라를 택하여 초대교회에 세워진 일곱 명의 집사들은 자격 요건이 있었다. 과연 교회의 직분 자들이 갖추어야 할 자격은 어떠해야 할까? 그에 대해 본문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본론1. 직분 자는 성령으로 충만해야 한다."형제들아 너희 가운데서 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행 6:3) 성령은 복음 전파와 교회 확장의 주요동인(動因) 이다(행 5:32, 8.. 2024. 10. 31. 기독교인들은 재물(財物)을 어떻게 볼 것인가?(기독교인들의 재물관) 서론 재물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재물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사용에 있어 어떤 원칙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성경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물은 단순히 물질적인 것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우리의 삶과 신앙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독교인으로서 재물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1. 재물은 하나님의 선물이다기독교인들은 재물이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성경은 “주께서 내게 주신 모든 것이 다 주의 것이니라” (시편 24:1)고 선언합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의 소유이며, 우리는 그 중 일부를 맡고 있는 청지기입니다. 그러므로 재물은 우리의 소유가 아니라 하나님의 소유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2. 재물의 목적재물은 단순히 개인.. 2024. 10. 17. 정직함과 거짓의 싸움: 빛과 어두움의 충돌의 역사 서론[요 1:47-49] (47) 예수께서 나다나엘이 자기에게 오는 것을 보시고 그를 가리켜 가라사대 보라 이는 참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 (48) 나다나엘이 가로되 어떻게 나를 아시나이까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빌립이 너를 부르기 전에 네가 무화과나무 아래 있을 때에 보았노라 (49) 나다나엘이 대답하되 랍비여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이시요 당신은 이스라엘의 임금이로소이다 예수님께서 개인적으로 단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나다나엘이 당신에게 오는 것을 보시고 “보라 이는 참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라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나다나엘은 예수님께서 어떻게 자신을 알고 계시는지 물었다. 나다나엘의 질문에 예수님은 자신을 예수님께로 데리고 온 빌립이 나다나엘을 부르.. 2024. 10. 16. 성탄절의 기원: 예수 그리스도가 오실 것에 대한 성경의 예언 서론[사 9:6-7] (6)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7)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 만군의 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 오늘날 전 세계가 매년 12월 25일에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여 교회는 성탄절 예배를 드리고 선행을 하는 날로, 일반적으로는 가족과 지인들이 모여 선물을 주고받으며 파티를 열어 즐기는 날로 지내고 있다.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이 유대력으로 10월, 태양력으로 12월 25일이라 기록된 부분을 성.. 2024. 10. 12. 추수감사절의 역사와 의미(추수꾼의 사명) 서론[마 9:35-38] (35) 예수께서 모든 성과 촌에 두루 다니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라 (36) 무리를 보시고 민망히 여기시니 이는 저희가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유리함이라 (37) 이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추수할 것은 많되 일군은 적으니 (38) 그러므로 추수하는 주인에게 청하여 추수할 일군들을 보내어 주소서 하라 하시니라 오늘날 한국교회는 11월 셋째 주일에 추수감사절을 기념하여 감사 예배를 드리고 있다. 추수감사절에 대한 성경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을 자세히 알아보고 오늘날 드려지는 추수감사절을 의미 있게 드렸으면 한다. 추수감사절이 역사와 의미를 살펴보겠다.본론1. 미국에서 시작된 추수감사절의 역사와 의미1) 미국은 11월.. 2024. 10. 1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