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성막(聖幕): 너는 정월 초일일에 성막 곧 회막을 세우고(요점 정리) 서론[출 40:2] 너는 정월 초일일에 성막 곧 회막을 세우고 ▶ 계시: 모세가 시내산 등반 제6차 때, 40일 동안 주야로 금식할 때 하나님께 받음(출 24:12-18, 25:9).▶ 시기: 출애굽 제 2년(주전 1445년) 1월 1일에 처음 완성(출 40:2, 17).▶ 기능:    ①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하여 광야를 지날 때 하나님을 섬긴 이동식 예배 처소    ② 각종 절기를 비롯한 거룩한 모임에서 하나님 앞에 제사를 드리는 신앙적 구심점 이자 생활의 중심    ③ 각종 제물을 바쳐 제사를 드리고 죄 씻음을 받도록 제도화    ④ 성막을 중심으로 공동체의 질서를 확립▶ 성막이 그 사명을 마감한 것은 주전 959년 솔로몬왕이 예루살렘에 고정된 성전을 완성하였을 때(왕상     6:38). _ 주.. 2024. 11. 19.
두 돌판을 다듬고 나무궤를 준비하라 서론[신 10:1-2](1) 그 때에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너는 처음과 같은 두 돌판을 다듬어 가지고 산에 올라 내게로 나아오고 또 나무궤 하나를 만들라 (2) 네가 깨뜨린 처음 판에 쓴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너는 그것을 그 궤에 넣으라 하시기로 시내산 제 6차 하산 시에 처음 주셨던 두 돌판이 깨어진 상황에서,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중보기도를 들으시고 다시금 새롭게 언약의 두 돌판을 주려 하셨습니다. 다시 한번 기회를 허락하신 것이므로, 첫 번과 같이 실패해서는 안 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모세가 제8차로 시내산에 오르기 전에 두 가지 준비를 명령하셨습니다. 첫째, 두 돌판을 직접 다듬어 가지고 올 것과 둘째, 두 돌판을 넣어 보관할 나무궤 하나를 만들라는 것이었습니다(신 10:1-2).. 2024. 11. 18.
악인의 본성과 하나님의 심판에 대하여 서론다윗의 시, 본문은 불법과 악행을 일삼는 악인들의 본성을 들춰내고 그들의 죄악을 하나님께 고발하며 저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악인들은 공정한 재판을 하지 않고, 백성을 위하는 척하면서 오히려 그들에게 해를 끼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악인들에 대한 징벌이 신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하나님의 심판과 의인의 갚음을 확신하고 있습니다.(시 58:1-3) (1) (다윗의 믹담 시 영장으로 알다스헷에 맞춘 노래) 인자들아 너희가 당연히 공의를 말하겠거늘 어찌 잠잠하느뇨 너희가 정직히 판단하느뇨 (2) 오히려 너희가 중심에 악을 행하며 땅에서 너희 손의 강포를 달아주는도다 (3) 악인은 모태에서부터 멀어졌음이여 나면서부터 곁길로 나아가 거짓을 말하는도다본론1. 악인의 본성에 대해 고발하고 있습니다(1.. 2024. 11. 14.
하나님의 비밀 예수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비밀 서론 하나님께서 시대마다 자기 백성과 체결하신 언약 속에는, 하나님의 구속사적 경륜과 장차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이 점진적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성경에 나타난 언약의 최종 성취자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가 빠진 언약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언약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고, 언약을 통해 영광의 소망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날 수 있습니다(골 1:26-27, 2:2-3). 예수 그리스도는 “감추었던 만나”(계 2:17), “감추인 보배”(잠 2:4, 참고-고후 4:6-7, 벧전 2:4-8), “감추인 보화”(마 13:44, 골 2:2-3) 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언약에는 하나님의 비밀이 담겨 있고, 그 언약의 최종 성취는 하나님의 비밀이신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2024. 11. 13.
가인의 자손: 이랏의 아들 '므후야엘'에 대하여 서론가인의 자손 이랏의 아들 '므후야엘'은 ‘하나님께서 흔적도 없이 쓸어 버린 자’(창 4:18)라는 의미이다. 므후야엘의 어원은 ‘쓸어 버리다, 지워 버리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마하’와 ‘하나님’이라는 뜻의 ‘엘’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그 이름의 뜻은 ‘하나님께서 쓸어 버리신 자’, ‘하나님께서 이름을 지워 버린 자’로 해설할 수 있다. 너무나 끔찍하고 저주스러운 이름이다. 이름은 그 사람의 존재에 대한 상징인데, 이름을 지운다는 것은 존재 자체가 소멸하는 것이기에 그야말로 최고의 심판을 받은 것이다.'므후야엘'이 어떠한 인생을 살았기에, 이러한 저주스러운 이름이 주어졌을까? 성경에 그의 행적과 성품에 대한 묘사는 전혀 없다. 그러나 그의 이름에 사용된 ‘마하’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다른 곳.. 2024. 11. 12.
가인의 자손들: 에녹의 아들 '이랏'에 대하여 서론 이랏은 에녹의 아들입니다. 이랏의 이름 뜻은 도망자, 도피자, 과시하는 자입니다(창 4:18). 그의 이름의 뜻을 볼 때 그는 ‘자기 자신을 과시하는 자’입니다. 하나님을 피해 도망 다니면서 온갖 범죄를 저지른 후, ‘하나님이 어디 있느냐? 우리가 하는 일을 하나님이 보지 못할 거야’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없다’ 함으로 죄짓는 일에 전혀 두려움이나 거리낌이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한 자를 성경에서는 가장 어리석은 자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시 10:4, 14:1). 본론1.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것을 살피시고 알고 계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행동, 그 행동의 배후에 숨은 동기, 우리의 심장과 폐부까지 감찰하시고, 우리의 생각을 낱낱이 살피십니다(렘 17:10, 시 94:9, 잠 5:21).. 2024.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