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4

가인의 자손: 이랏의 아들 '므후야엘'에 대하여 서론가인의 자손 이랏의 아들 '므후야엘'은 ‘하나님께서 흔적도 없이 쓸어 버린 자’(창 4:18)라는 의미이다. 므후야엘의 어원은 ‘쓸어 버리다, 지워 버리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마하’와 ‘하나님’이라는 뜻의 ‘엘’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그 이름의 뜻은 ‘하나님께서 쓸어 버리신 자’, ‘하나님께서 이름을 지워 버린 자’로 해설할 수 있다. 너무나 끔찍하고 저주스러운 이름이다. 이름은 그 사람의 존재에 대한 상징인데, 이름을 지운다는 것은 존재 자체가 소멸하는 것이기에 그야말로 최고의 심판을 받은 것이다.'므후야엘'이 어떠한 인생을 살았기에, 이러한 저주스러운 이름이 주어졌을까? 성경에 그의 행적과 성품에 대한 묘사는 전혀 없다. 그러나 그의 이름에 사용된 ‘마하’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다른 곳.. 2024. 11. 12.
가인의 자손들: 에녹의 아들 '이랏'에 대하여 서론 이랏은 에녹의 아들입니다. 이랏의 이름 뜻은 도망자, 도피자, 과시하는 자입니다(창 4:18). 그의 이름의 뜻을 볼 때 그는 ‘자기 자신을 과시하는 자’입니다. 하나님을 피해 도망 다니면서 온갖 범죄를 저지른 후, ‘하나님이 어디 있느냐? 우리가 하는 일을 하나님이 보지 못할 거야’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없다’ 함으로 죄짓는 일에 전혀 두려움이나 거리낌이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한 자를 성경에서는 가장 어리석은 자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시 10:4, 14:1). 본론1.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것을 살피시고 알고 계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행동, 그 행동의 배후에 숨은 동기, 우리의 심장과 폐부까지 감찰하시고, 우리의 생각을 낱낱이 살피십니다(렘 17:10, 시 94:9, 잠 5:21).. 2024. 11. 12.
가인의 자손들: 가인의 아들 에녹에 대하여 서론(창 4:16-17) 가인이 여호와의 앞을 떠나 나가 에덴 동편 놋 땅에 거하였더니 아내와 동침하니 그가 잉태하여 에녹을 낳은지라 가인이 성을 쌓고 그 아들의 이름으로 성을 이름하여 에녹이라 하였더라 가인은 아벨을 죽인 후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저주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❶ 땅을 경작하여도 다시는 땅이 그 효력을 네게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❷ 너는 땅에서 피하여 떠도는 자가 될 것이다.하지만 가인은 회개치 않고 오히려 그 형벌이 자신에게 너무 무겁다고 하며, 하나님께 그 형벌을 조정해 달라고 요구하였습니다. 가인이 하나님께 조정해 달라고 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❶ 주의 얼굴을 뵐 수 없게 되니 형벌이 과합니다.❷ 땅에서 피하여 떠도는 자가 될 것이기에 형벌이 과합니다.❸ 나를 만나는 자들이 나를 .. 2024. 11. 11.
가인의 자손들: 놋 땅에 거한 가인에 대하여 서론(창 4:12) 네가 땅을 경작하더라도 다시는 땅이 그 효력을 네게 나타내지 않을 것이며, 너는 땅에서 피하며 떠도는 자가 될 것이다. 가인은 범죄하고도 하나님께서 선언하신 형벌이 너무 가혹하다고 항의하면서 형벌을 감당할 수 없다고 뻔뻔스럽게 반문하였습니다(창 4:13-14).(창 4:13-14)가인이 여호와께 고하되 내 죄벌이 너무 중하여 견딜 수 없나이다.주께서 오늘 이 지면에서 나를 쫓아 내시온즉 내가 주의 낯을 뵈옵지 못하리니내가 땅에서 피하며 유리하는 자가 될지라 무릇 나를 만나는 자가 나를 죽이겠나이다. 가인이 회개하는 마음으로 이같이 말했더라면 좋았으련만 그런 기미는 없어 보입니다. 시편 기자가 회개하는 심정으로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며 주의 성신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시 5.. 2024. 11. 10.
가인의 자손들: 악한 자의 모형 가인에 대하여 서론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은 성경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그 사랑은 단순한 감정이나 말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과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납니다. 특히 마태복음 13장의 가라지 비유는 이 사랑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비유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에 좋은 씨를 뿌리셨으나, 사단이 그 사이에 가라지를 덧뿌리는 과정을 통해 우리에게 경각심을 줍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말씀과 사랑을 붙잡고, 사단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늘 깨어 있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가라지 비유를 통해 사단의 영향과 하나님의 말씀의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본론1. 좋은 씨와 가라지[마 13:24-30](24) 예수께서 그들 앞에 또 비유를 베풀어 가라사대 천국은 좋은 씨를 제 밭에 .. 2024. 11. 8.
가인의 자손들: 가인이 살인자가 된 이유 서론[창 4:1] 아담이 그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잉태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창세기 4:1절을 볼 때, 아담과 하와가 동침해서 하나님의 은혜로 첫아들 가인(얻었다)을 낳았다. 이는 창세기 3:15에 여자의 후손에 관한 약속 이후 아담과 하와가 낳은 첫아들이었다. 그야말로 가인은 아담의 장자로서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출생한 기쁨의 아들이다."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라는 이 말은 득남에 대한 하와의 기쁨의 표시이다. ‘가인’ 그 이름은 인류의 첫 열매를 얻은 하와의 고백이자 하와의 신앙이 반영된 이름으로서, 곧 ‘하나님의 은총(호의)으로 말미암았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가인을 통해서 잃어버린 낙원을 재건하고자 하는 아담과 하와의 희망을 엿볼 .. 2024.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