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말씀
[마 14:13-21] (13) 예수께서 들으시고 배를 타고 떠나사 따로 빈 들에 가시니 무리가 듣고 여러 고을로부터 걸어서 좇아간지라 (14) 예수께서 나오사 큰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사 그 중에 있는 병인을 고쳐 주시니라 (15) 저녁이 되매 제자들이 나아와 가로되 이곳은 빈 들이요 때도 이미 저물었으니 무리를 보내어 마을에 들어가 먹을 것을 사먹게 하소서 (16) 예수께서 가라사대 갈 것 없다 너희가 먹을 것을 주어라 (17) 제자들이 가로되 여기 우리에게 있는 것은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 뿐이니이다 (18) 가라사대 그것을 내게 가져오라 하시고 (19) 무리를 명하여 잔디 위에 앉히시고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사 하늘을 우러러 축사하시고 떡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매 제자들이 무리에게 주니 (20) 다 배불리 먹고 남은 조각을 열 두 바구니에 차게 거두었으며 (21) 먹은 사람은 여자와 아이 외에 오천 명이나 되었더라
서론: 본문 배경
예수님께서는 세례요한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으시고 거기서 배를 타고 외딴곳으로 떠나셨는데, 그 소식을 들은 무리들이 이 소식을 듣고 성읍들에서 나와 걸어서 예수님을 따라왔습니다(마 14:13). 예수님께서 따르는 무리를 불쌍히 여기시고 그들 중에 아픈 자들을 고쳐 주셨습니다. 그곳은 광야였고 날도 저물었기에 모여있는 무리들을 마을의 들로 보내어 저녁 식사를 알아서 해결하는 것이 좋겠다고 주님께 보고드렸습니다. 다른 복음에서는 그들이 스스로 사서 먹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제자들은 예수님께 “여기서 저희가 가진 것은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뿐입니다”라고 말씀드렸고, 예수님께서는 그것을 “본인 앞으로 가져오고 무리들은 풀밭에 앉도록”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시고 하늘을 우러러보며 축복기도를 드리신 후 빵들을 떼어서 제자들에게 주셨습니다. 그리고 제자들은 그 빵과 물고기를 무리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이때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모든 이들이 먹고 배부르게 되었으며, 남은 조각이 열두 바구니에 가득 차 모였습니다. 먹은 사람들은 여자들과 어린아이들을 제외하고 남자들만 오천 명쯤 되었습니다.
본론
1. 영적 빈곤과 때의 중요성.
오늘 본문 15절에서 “저녁이 되매, 빈들이요”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을 영적으로 해석해 볼 두 단어는 ‘저녁과 빈들’입니다.
1) ‘저녁’은 하루의 끝이자 날이 저문 종말을 상징합니다.
저녁은 하루의 끝을 나타내며, 종종 영적 의미에서 삶의 한 시점이나 종말을 상징합니다. 이는 인생의 전환점이나 결단의 순간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세상의 빛이 되신다고 말씀하시면서 빛이 있으니 낮이고, 낮에는 일할 수 있는 때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밤이 오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때가 온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요 9:4).
2) ‘빈들’은 물리적 + 영적인 삶의 장소를 말합니다.
“빈들이요”라는 표현은 두 가지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첫째, 물리적 빈곤함과 둘째, 영적 빈곤함입니다. 원문을 통해 ‘빈들’은 두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빈’은 헬라어 ‘ἔρημος', 에레모스’인데 그 뜻은 ‘고독한’, ‘버려진’, ‘황량한’, ‘외로운’입니다. 그리고 ‘들’은 헬라어로 ' τόπος ', 토포스(place)’인데 그 뜻은 ‘지점’, ‘장소’, ‘조건’, ‘기회’입니다. 그러므로 ‘빈들’의 전체적 의미는 ‘한 사람의 고독함과 외로움의 장소 또는 그 사람의 갈급한 기회’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을 좇는 무리들은 물질적 자원이나 영적 양식이 결여된 상태에 놓여 있는 인생을 대표하고 있는 것입니다.
2. 생명의 떡을 주시는 예수 그리스도 (마 14:13-21, 막 6:30-44, 눅 9:10-17, 요 6:1-14).
1)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양식’(빵)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창조하시기 전 그 생명체가 먹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시고 그것들을 식물로 주셨습니다(창 1-2장). 오늘날을 살아가는 인류도 먹고사는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현생을 살아가는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접하고 있기에 강조하지 않아도 중요한 것임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2) 하나님의 말씀을 갈급해 하는 성도들에게도 양식이 필요합니다.
오늘 본문의 배경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 위해 예수님을 좇는 무리에게도 배고픔의 때는 찾아오고, 제자들의 생각처럼 각자 해결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좇아가지만 배고픔은 찾아오고,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의 문제입니다.
3)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성도들에게 양식을 주십니다.
하나님을 경외하고 살아가는 성도들에게는 반드시 땅에서 자라는 식물을 뜯어 먹게 하시듯 양식을 주시며 그 언약을 영원히 기억하시겠다고 말씀합니다(시 11:5). 하나님의 뜻을 좇아가는 성도의 양식의 문제는 반드시 주님께서 해결하시겠다는 약속입니다.
4) 예수님께서는 성도들에게 살아있는 떡으로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온 인류가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시기 위해 오신 ‘살아있는 떡’이 되십니다(요 6:51). 그래서 주님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요 6:35). 오늘 본문의 기사는 그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결론
본문은 예수님께서 제자를 부르시고 어떻게 복음을 전해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신 사건입니다. 제자들은 물리적이고 상식적인 요건으로 말씀을 따르던 무리들을 대했지만, 예수님은 굶주린 인생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가르치시기 위해 오병이어를 가지고 축사하시고 제자들을 통해 나누심으로 앞으로 제자들의 사역에 기본을 가르치셨습니다.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은 실질적으로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성도들을 양육했고 그 가르침은 초대교회에 모든 자들 사랑으로 자신의 재물을 가난한 자들과 나눌 때 오히려 궁핍한 자가 없이 풍성함을 누리게 되는 기적적인 삶을 살아가게 하였습니다(행 4:32-35). 구약의 선지자 엘리야를 공궤한 사르밧 과부에게도 통의 가루와 병의 기름이 가뭄이 끝나기까지 끊이지 않았던 것과 같이 말입니다(왕상 17:8-16).
성경에서 마지막 날에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빛을 잃으며, 별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며, 하늘의 권세들이 흔들릴 것이라고 말씀합니다(마 24:29). 그때는 어둠이 땅을 덮으며, 캄캄함이 만민을 가릴 것입니다(사 60:2).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피로 변하게 될 것입니다(욜 2:31).
마지막 날에 어린양이 여섯째 봉인을 떼실 때, 큰 지진이 일어나고, 해가 머리털로 짠 베처럼 검게 되고, 달 전체가 피같이 되며, 하늘의 별들은 무화과나무가 거센 바람에 흔들려 설익은 열매가 떨어지듯이 땅에 떨어지고, 하늘은 두루마리가 말리듯이 쓸려가며 모든 산과 섬들이 제자리에서 옮겨지고, 땅의 왕들과 귀족들과 장군들과 부자들과 강한 자들과 모든 종들과 모든 자유인들이 동굴들과 산들의 바위틈에 숨어, 산들과 바위들에게 말하기를 "우리 위에 떨어져, 보좌에 앉으신 분의 얼굴과 어린 양의 진노로부터 우리를 숨겨라. 그분들의 진노의 큰 날이 이르렀으니, 누가 능히 설 수 있겠느냐?"라고 한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계 6:12-17).
특히 그날에는 영적 배고픔이 있습니다(암 8:11). 하나님께서 배고픈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광야에서 만나를 먹이신 것은, 사람이 빵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산다는 것을 알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신 8:3).
예수님께서는 신령한 하늘의 만나로 우리에게 오셨습니다(여 6:48-50). 성도는 이 땅에서 썩는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않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일하는 자입니다(요 6:27). 썩어질 물질을 사모하는 자가 되지 말고(딤전 6:10), 세상 정욕을 버리고(딛 2:12),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떡을 나누게 하신 것과 같이 성령 충만함을 받아 말씀을 전할 때(행 4:31), 빈들에서 저녁을 만난 영혼들에게 영원토록 있는 양식을 나누어 5000명 이상을 먹이고도 열두 광주리에 차게 거두어 남기는 충만함의 역사가 나타날 줄 믿습니다(마 14:20).
"토포스" (τόπος)는 헬라어로 "장소", "지점", 또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물리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한 상황이나 조건을 설명할 때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토포스"는 성경에서 특정 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되며, 어떤 일이 일어나는 맥락이나 배경을 강조하는 데도 쓰입니다.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위치나 환경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신학적 해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