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횃불 언약의 성취: 민족 해방의 사명과 할례(모세)

by Jacob kim 2025. 3. 20.
반응형

횃불 언약의 성취
횃불 언약

본문

[출 4:23-26] (23) 내가 네게 이르기를 내 아들을 놓아서 나를 섬기게 하라 하여도 네가 놓기를 거절하니 내가 네 아들 네 장자를 죽이리라 하셨다 하라 하시니라 (24) 여호와께서 길의 숙소에서 모세를 만나사 그를 죽이려 하시는지라 (25) 십보라가 차돌을 취하여 그 아들의 양피를 베어 모세의 발 앞에 던지며 가로되 당신은 참으로 내게 피 남편이로다 하니 (26) 여호와께서 모세를 놓으시니라 그 때에 십보라가 피 남편이라 함은 할례를 인함이었더라

서론

모세가 인식한 하나님

  1. 언약의 하나님
  2. 언약을 성취하시는 하나님
  3. 이스라엘 자손을 향한 자비와 긍휼과 아가페 사랑이 무한하신 하나님

모세가 하나님을 바로 인식하게 되었을 때 목숨을 걸고 애굽 왕 바로에게 담대히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출 4:21). 그러나 하나님은 길에서 모세를 만나시고 할례 문제로 그를 죽이려 하셨습니다(출 4:23-26).

본론

1. 애굽 왕 바로 앞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을 선포

애굽 왕 바로 앞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을 선포
애굽 왕 바로 앞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을 선포

1) 이스라엘을 “내 아들”이라 부르심(출 4:22)

  1. 하나님의 이스라엘의 아버지가 되십니다(신 32:6, 시 89:26, 사 9:6, 63:16, 64:8, 말 1:6, 2:10).
  2. 이 호칭은 이스라엘이 처음(출 4:22-23)
  3. [호 11:1] 이스라엘의 어렸을 때에 내가 사랑하여 내 아들을 애굽에서 불러 내었거늘
  4. 사람이 자기 아들을 안음같이 광야의 이스라엘을 안아서 목적지까지 인도하셨다(신 1:31, 시 103:13).
  5. 징벌하시기도, 자비와 긍휼을 베푸시기도, 사랑과 채찍으로 훈련하셨다(삼하 7:14-15, 89:30-35).
  6. 예수님도 하나님을 아버지라 칭하심(요 20:17, 1:12).

2) 이스라엘을 “내 장자”라고 말씀하심.

  1. 언약의 자손 이스라엘만 하나님의 장자(출 19:5-6).
  2. 장자: 처음 태어난 맏아들, 태의 첫 열매, 기력의 시작(창 49:3, 신 21:17, 시 78:51, 105:36).
  3. 아버지로부터 축복을 받는 특권(창 27:1-4, 35-37).
  4. 기업의 상속은 두 배(신 21:17).
  5. 긍휼과 깊은 사랑을 받음(시 89:27-37, 렘 31:20, 호 11:1).
  6. 아버지의 전 재산을 물려받으며 후사의 축복이 보장됨(창 49:3, 25, 대상 5:1-2).
  7. 바로에게 이스라엘을 ‘내 장자’라고 선언하신 이유는?
    • 모세가 태양신의 아들이 아닌 하나님의 장자임을 선포하신 것
    •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최고의 국가로 선포하신 것
    • 이스라엘이 받은 특권이 무엇인지 알게 하신 것

2. ‘길의 숙소’에서 모세를 죽이려고 하신 이유

‘길의 숙소’에서 모세를 죽이려고 하신 하나님
‘길의 숙소’에서 모세를 죽이려고 하신 하나님

1) 애굽을 향하던 모세를 갑자기 죽이려 하신 사건(출 4:24).

  1. ‘길 위의 숙소’ = 사막의 길에서 임시로 만든 거처(버릇처럼 일상적인 숙소 생활)
  2. 아내 십보라는 모세가 하나님의 언약을 무시한 결과임을 알아채고, 즉시 차돌을 취하여 아들의 양피를 베어 할례를 행함(출 4:25).
  3. 여호와께서 모세를 놓아주심(출 4:26).

2) 중대한 사명을 완수할 모세의 생명을 위협하신 이유는?

  • 민족을 이끌 지도자가 먼저 언약을 지키게 하시기 위함
  • 할례: 거룩하신 하나님과 그 백성 사이에 영원한 언약 관계의 표징(창 17:11).
  • 아브라함에게 할례를 명하실 때 ‘영원한 언약’이라고 말씀하심(창 17:8, 13).
  • 할례를 받지 않으면 저주의 대상이기 때문(창 17:10, 14).
  • 사명을 허락하신 것은 치외법권 아래 있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언약 준수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세는 자신의 아들에게는 영원한 언약을 실행하지 않았다는 것(출 4:25-26).
  •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로우심을 동시에 보여주시는 사건
  • “당신은 참으로 내게 피 남편이로다”: 피는 생명과 언약의 중요성을 상징(할례의 중요성)
  • 십보라의 행동은 모세에게 할례의 중요성을 알게 함(영도자 가족의 역할의 중요성)

결론

하나님은 택함을 받은 자의 성결을 생명보다 귀중하게 여기십니다.

  1. 할례는 날카로운 차돌로 남자의 양피를 베어 잘라내는 의식. 하나님께서 거룩하시기에 그의 백성들도 거룩해야 합니다(레 11:44-45, 19:2).
  2. 할례는 사망의 피를 빼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에 화답하는 언약 백성이 되는 길입니다(신 10:16, 30:6, 렘 4:4).
  3. 모세는 거룩한 할례를 통해 자기 아들을 언약 백성으로 성별 해야만 했습니다.
  4. 모세는 자신의 생명을 잃을 뻔한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언약을 기억하고 성결함이 사역에서 최우선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5. 출애굽 역사는 단순한 민족 해방을 넘어 하나님의 거룩한 언약을 실현하는 중차대한 일이라는 사실을 철저하게 자각하는 사건입니다.

♧ 우리는 신령한 할례를 받았는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