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말씀
[마 22:15-22]
(15) 이에 바리새인들이 가서 어떻게 하여 예수로 말의 올무에 걸리게 할까 상론하고 (16) 자기 제자들을 헤롯 당원들과 함께 예수께 보내어 말하되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참으로써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시며 아무라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아니하심이니이다 (17) 그러면 당신의 생각에는 어떠한지 우리에게 이르소서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가하니이까 불가하니이까 한대 (18) 예수께서 저희의 악함을 아시고 가라사대 외식하는 자들아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19) 셋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거늘 (20)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형상과 이 글이 뉘 것이냐 (21) 가로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가라사대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22) 저희가 이 말씀을 듣고 기이히 여겨 예수를 떠나가니라
서론
진리와 거짓은 대립합니다. 바리새인들과 헤롯당원들은 예수님을 시험하고자 질문하고 책잡으려고 예수님의 약점을 찾느라 분주하였습니다(마 22:15-17). 예수님은 그들의 공격을 방어하는데, 온 힘을 쏟아부으셨습니다(마 22:18, 21).
진실을 말하는 입술은 영원히 보존됩니다. 그러나 거짓 혀는 잠시 동안만 존재합니다(잠 12:19). 거짓말은 사단의 속성입니다(요 8:44). 거짓의 속성은 악함을 선함으로, 선함을 악함으로 둔갑시키고, 빛을 어두움이라 어두움을 빛이라 바꾸어 말합니다(사 5:20).
오늘을 변론의 날이라고 정한 것은, 예수님과 저들의 변론이 빛과 어두움의 싸움이고, 참과 거짓의 싸움이며, 선함과 악함의 싸움인 것입니다. 그래서 위선적인 그들의 질문에 결단코 타협하거나 양보하지 않으시는 예수님의 온전하심을 기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 내용을 살펴보고 함께 은혜를 나누겠습니다.
본론
1. 변론의 내용
1) 포도원 비유로 자기 증거를 하시다(막 12:1-12, 마 21:33-46, 눅 20:9-19).
➀포도원 주인:하나님 ➁농부:이스라엘 민족 ➂종:선지자들 주인의 아들:예수님
2) 세금에 관한 질문과 답(막 12:13-17. 마 22:15-22, 눅 20:20-26).
①서기관, 헤롯당원: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가?
②예수님: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쳐라
3) 부활에 관한 질문과 답(막 12:18-27, 마 22:23-33, 눅 20:27-40).
①사두개인들: 계대결혼과 부활의 문제점.
②예수님: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날 때는 장가도 아니 가고 시집도 아니 가고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이 될 것이다(눅 20:36). 하나님의 산자의 하나님이시다(출 3:6).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다(눅20:38).
4) 가장 큰 계명에 대한 질문과 답(막 12:28-34, 마 22:34-40, 눅 10:25-28)
①서기관 중의 한 사람: 모든 계명 중에 첫째가 무엇입니까?(대답하실 줄 알고)
②예수님: 첫째는 유일하신 하나님께 “네 마음, 목숨, 힘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라”. 둘째는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이보다 더 큰 계명이 없느니라
③서기관: 선생님 옳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이 모든 번제물보다 낫습니다.
④예수님: 네가 하나님 나라에서 멀지 않도다
5) 그리스도는 누구의 자손인가(막 12:35-37, 마 22:41-46, 눅 20:41-44)
①어찌하여 서기관들이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는가?
②다윗은 말하기를 그리스도를 자신의 ‘주’라고 고백하였고 ‘원수를 진멸하실 때까지 하나님 우편에 앉아있으라’라고 하나님께서 주님께 말씀하셨다(시 110:1). 그러니 어찌하여 주께서 다윗의 자손이 되겠는가?
6) 서기관들을 책망하심(막 12:38-40, 마 23:1-36, 눅 20:45-47)
➀긴 옷을 입고 다님 ➁시장에서 문안받음 ➂회당의 높은 자리와 윗자리를 원함(서기관들을 주의하라) ➃과부의 자산을 삼킴 ➄외식으로 길게 기도함(심판을 받을 것).
2. 그 이후의 행적
1) 과부의 두렙돈 헌금을 칭찬(막 12:41-44, 눅 21:1-4).
➀여러 부자는 많이 넣는데 한 과부는 2 렙돈을 넣었다
➁이 가난한 과부가 더 많이 넣은 것이다.
➂풍족한 중에 넣는 것은 쉽다.
➃가난한 중에 자기의 모든 소유(생활비)를 넣었다(약 1,500원).
- 렙돈: 당시 통용되던 가장 작은 화폐단위.
- 1 코드란테스: 64분의 1 데나리온 / 128 렙돈.
- 1 데나리온: 노동자 하루 품삯
2) 예루살렘 성전 멸망에 대한 예언(마 24:1-2, 막 13:1-2, 눅 21:5-6)
①시점: 예루살렘 성전을 나올 때
②상황: 제자들이 성전의 아름답고 웅장함을 언급할 때(헤롯이 성전확장공사를 함)
③예수님의 반응: 돌 위에 돌 하나도 남지 않고 다 무너지리라(막 13:2).
- 외적인 영광에 집중하는 제자들에게 진정한 신앙의 본질과 하나님의 심판을 상기시킴
- 예루살렘의 멸망과 종말에 대한 경고: 실재로 서기 70년 로마의 티투스(디도)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성전이 철저히 파괴됨으로 예언 성취
3) 그리스도의 재림에 관한 표적(마 24:3-42, 막 13:3-33, 눅 21:7-36)
①제자들: 언제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인지를 질문(예루살렘 멸망):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겠습니까?(마 24:3)
②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표적들:
- 종교적 혼란: 거짓 그리스도, 거짓 선지자의 등장(마 24:5)
- 정치적 불안: 전쟁과 전쟁의 소문(막 13:8)
- 자연재해: 지진, 기근, 전염병(눅 21:11)
- 박해: 예수님의 이름 때문에 성도들을 박해(迫害)(마 24:9)
- 세상 도덕성 붕괴: 불법이 성행하고 사랑이 식어짐(마 24:12)
- 복음전파: 모든 민족에게 복음 전파(마 24:14)
- 징조가 심해짐: 하늘에 큰 징조: 해, 달, 별의 변화(눅 21:25)
③예수님의 권면과 경고
- 미혹되지 말라: 영적으로 깨어 있어라
- 두려워 말라: 전쟁과 재해는 종말의 시작일뿐, 당황하지 말고 인내하라
- 재림은 도둑처럼, 노아 홍수의 때처럼 갑자기 임한다(마 24:37-39)
- 깨어 준비하라: 그날과 그때는 아무도 모르기에 항상 준비해라(마 24:42)
■ 키워드: 깨어있어라. 믿음을 지켜라. 인내하라. 복음을 전파하라. 신앙의 일상화.
- 재림은 반드시 온다. 그 시기는 아무도 모르지만 표적이 있다.
4)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이 예수님을 어떻게 죽일까에 대해 공모(마 26:1-5, 막 14:1-2, 눅 22:1-2)
①음모의 시점: 유월절과 무교절을 앞둔 상황
②예수님은 자기의 죽음이 가까웠음을 예고하심(마 26:2)
③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모여 은밀하게 회의: 예수님을 어떻게 죽일지를 모색(마 26:4)-명절에는 죽이지 말자(폭동일 일어날까 두려워함)(막 14:2)
■ 키워드: 인간의 악한 계략과 음모가 하나님의 구속 계획 안에서 허용됨
5) 가룟 유다가 은 30에 예수님을 대제사장에게 넘길 것을 모의함(마 26:14-16, 막 14:10-11, 눅 22:3-6, 마 27:3)
①사탄이 유다에게 들어감(눅 22:3-6)
②제자 12중 하나인 가룟유다가 대제사장들을 찾아감(마 26:14-16)
- 내가 예수를 넘겨주면 얼마를 주겠는가?
- 은 30개를 주기로 함: 그때부터 예수를 넘길 기회를 찾기 시작함(막 14:10-11)
③왜 은 30인가?
- 은 30은 당시 종의 몸값(출 21:32)
- 메시아를 천하게 여김을 상징
- 스가랴의 예언이 성취됨: “그들이 내 품값으로 은 삼십 개를 달아주었느니라”(슥 11:12-13)
결론
예수님께서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의 질문에 답하시는 변론은 결단코 쉬운 대화의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진리와 거짓의 대립이었고, 싸움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 어떤 때보다도 가장 피곤하고 지치실 만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어느 성경 구절에도 제자들이 예수님을 변론했다는 말씀이 없습니다. 실력과 영력의 부족함과 예수님에 대한 확신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 중에 핵심은 예수님께서 자신이 십자가에서 죽으실 것을 제자들에게 알렸기 때문입니다(마 16:21-23, 20:18-19).
그들은 낙심했고 두려워했습니다. 낙심은 두려움을 수반합니다(민 32:7-9, 신 1:28). 교회사역도 하나님의 긍휼을 입고 산다는 것에 감사하지 않고 낙심하지 말아야 합니다(고전 4:1). 어떠한 우겨쌈을 당하고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않아야 합니다(고후 4:8). 우리의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마다 새롭기 때문입니다(고후 4:16).
오늘날을 살아가는 성도는 진리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예수님은 길과 진리요 생명이 되십니다(요 14:6). 그러므로 예수님을 믿을 때, 진리가 우리를 자유롭게 합니다(요 8:32). 진리를 따른다는 것은 결단코 편한 길이 아닙니다. 그 길은 진실한 길이기에 믿음으로 따라가야 합니다.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습니다(히 11:6).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은 박해를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딤후 3:12). 진리는 때로 고난을 요구하지만, 그 끝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영광과 생명이 있습니다(엡 3:13). 그래서 진리는 정보가 아니라 인격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예수님의 완전하신 인격을 배우고 따라야 하겠습니다.